gtag('config', 'G-Q0ZEBHY16S'); 저평가 우량주 찾는법 핵심비법 및 10선 예시
본문 바로가기
주식기초이론

저평가 우량주 찾는법 핵심비법 및 10선 예시

by SmallCapMaster 2022. 8. 31.
반응형

저평가 우량주 찾는법 핵심비법 및 10선 예시

주식투자를 시작하시는 분들은 급등주 매매로 일확천금을 노리시기도 하지만 저평가 우량주 찾는법을 배워 튼튼한 종목에 장기간 투자하려고 하시는 분들도 상당히 많습니다. 그런데 저평가 우량주를 찾자니 어떻게 찾아야 할지 막막하실 겁니다. 그렇다고 모든 종목을 세세하게 분석하는 것도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래서 이번 칼럼에서는 어떻게 저평가 우량주를 찾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선 어떤 종목이 정말 저평가라고 판단할 수 있는지 그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고, 저평가 우량주 찾는법을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저평가 우량주 기준 2가지

1. ROE

저평가 우량주를 판별하는 요소는 많은 것들이 있지만, 저는 그 중에서 ROE를 뽑고 싶습니다. 영업이익률이나 ROE나 그게 그거 아닌가 싶은 분들도 있으실 겁니다. 물론 영업이익률도 높고, ROE도 높다면 그보다 좋은 종목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영업이익률은 회사가 총 자산을 가지고 벌어들이는 매출에 대한 수익률을 말하는 것이고, ROE는 내가 투자한 돈, 그러니까 주주들의 돈이 얼만큼 수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다시말하면, ROE는 주식 가치 상승의 척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ROE는 자본총계에서 이익이 비중을 나타낸 지표로, 자본총계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총 자산에서 부채를 뺀 나머지 금액이죠. 따라서 부채의 비중이 높거나, 회사가 창출한 이익 자체가 높을 때 ROE의 수치가 높게 도출이 됩니다.

 

전자의 경우에는 회사가 레버리지를 잘 이용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고, 후자도 회사가 훌륭한 영업력을 발휘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ROE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으며, 우량주의 필수 조건 중 하나입니다. 

2. PBR

ROE를 통해서 회사가 창출한 수익력을 체크했다면,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산가치도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가 대비 자산가치가 더 크다면 언젠가는 저평가주로 부각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한 대표적인 지표가 PBR입니다. PBR은 순자산, 즉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주주들의 총 자산이 시장에서 몇배에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배수가 낮을 수록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죠. 

하지만 단순히 PBR 수치가 낮아서 저평가라고 이야기 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이나 철강 업종들은 성숙기를 거쳐 쇠퇴기에 있는 업종이기 때문에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 않습니다. 그래서 PBR 수치도 1배 내외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교과서적으로 저평가 여부를 나누기보다는 해당 종목이 속한 업종과의 비교를 통해서 PBR 수치가 저평가 되어 있는지를 따져야 하겠습니다. 

또한, PBR 지표 계산 원리를 응용해서 특정 자산에 대한 주가 배수를 구할 수도 있습니다. PBR 계산에 사용되는 순자산(=자본)은 회사 재무제표에 기재된 모든 자산을 고려한 것인데, 자산의 유형에 따라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자산일수도 있고, 껍데기만 남아있는 자산일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자산들을 제외한 자산에서 주가배수를 구한다면 더욱 정확한 가치를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사항들

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단지 매출액이 많고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면 저평가 우량주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영업이익률이 20%가 넘어간다 한들 주가가 1년 내내 그 자리에서 머무는 경우도 많고, 오히려 시장의 분위기에 휩쓸려 하락세에 접어드는 종목도 많습니다.

예전의 주식시장에서는 영업이익률이 높고 자산가치가 충분하면 성장이 조금 더디더라도 주가가 한 번쯤은 시세가 나오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주식시장은 철저히 양극화 되었습니다. 따라서 물론 높은 영업이익률도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가 담보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평가 우량주를 찾을 때 우선적으로는 ROE나 PBR 지표로 조사할 종목을 4~5개 선정합니다. 그 다음 각 종목을 하나하나 분석해보면서 최적의 투자 조건을 가지고 있는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죠. 

저평가 우량주 찾는법

우량주 찾는법은 굉장히 다양하지만, 저는 네이버증권을 이용해 찾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다음 순서대로 따라해보시기 바랍니다. 

 

 

 


1. 네이버 증권에 접속합니다.
2. “국내 증시 탭”으로 접속합니다.
3. 왼쪽에 있는 탭을 보시면 다양한 메뉴들이 있는데, “업종” 탭을 클릭합니다. 
4. “업종” 탭을 클릭하면 다양한 업종이 나오는데, 내가 원하는 업종을 다시 클릭합니다.
5. 업종을 클릭하고 나면 “업종별 시세”가 상단 제목으로 나오고, 그곳에서 내가 찾고자 하는 조건을 가진 종목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필터가 있습니다. 여기서 ROE, PBR 등을 선택해주시기 바랍니다.
6. 선택이 완료되었다면 해당 업종에 속한 모든 종목의 해당 지표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ROE가 높으면서 PBR 수치가 낮은 종목을 중점적으로 찾아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이번 컨텐츠에서는 저평가 우량주 찾는법과 찾는 기준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다만 저평가 우량주를 찾는 것도 좋지만 조금 더 최적화된 수익을 내기 위해선 매매 시점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아래 글은 그런 점에서 매수 시점 잡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고 있으니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관련포스팅: 주식 매수 시점 잡는법 및 고수들의 봉차트 해석

반응형

댓글